2024년 연말정산, 결혼·출산·육아 관련 세제혜택 알아보기



2024년 연말정산, 결혼·출산·육아 관련 세제혜택 알아보기

2024년 귀속분 연말정산이 시작되면서 결혼, 출산, 육아와 관련된 새로운 세제혜택이 도입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요 변경 사항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결혼을 위한 세제혜택

결혼세액공제 신설

2023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혼인신고를 한 부부는 100만 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초혼이나 재혼 여부와 관계없이 생애 단 한 번만 적용되니 유의하세요.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출산과 육아 세제혜택 확대

산후조리원 비용 공제 확대

산후조리원 비용에 대한 공제가 확대되었습니다. 기존에는 총급여 7000만 원 이하의 근로자만 혜택을 받을 수 있었으나, 이제는 7000만 원을 초과하는 근로자도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출산지원금 비과세 혜택

자녀 출생일 기준 2년 이내에 받은 출산지원금은 최대 2회까지 전액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녀세액공제 및 의료비 공제 강화

자녀세액공제 확대

만 8세 이상 20세 이하 자녀 2명에 대한 세액공제가 기존 30만 원에서 35만 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셋째 자녀부터는 1인당 추가로 30만 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의료비 공제 한도 증가

6세 이하 자녀의 의료비는 한도 없이 전액 세액공제됩니다. 기존 의료비 공제 한도인 700만 원을 넘어서도 공제가 가능하여 가계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거비 및 신용카드 사용액 공제 확대

월세 세액공제 기준 완화

월세 세액공제의 기준이 완화되어 총급여 8000만 원 이하의 근로자도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도 역시 750만 원에서 1000만 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신용카드 사용액 소득공제

2024년 신용카드 사용액이 전년 대비 5% 이상 증가하면, 증가분의 10%를 최대 100만 원까지 소득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맞벌이 부부를 위한 공제 전략

부양가족 공제의 배분

맞벌이 부부의 연말정산에서 중요한 점은 부양가족 공제의 배분입니다. 일반적으로 고소득자에게 부양가족 공제를 몰아주는 것이 유리하지만, 의료비나 신용카드 공제는 소득이 낮은 사람이 받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시뮬레이션 서비스 활용

국세청 홈택스의 연말정산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활용하면 절세 전략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마무리

연말정산은 복잡하지만, 새로운 제도를 잘 활용하면 가계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올해부터 홈택스 시스템 개편으로 부양가족 공제 오류를 줄일 수 있는 간소화 서비스가 제공되니 참고하세요. 모두가 행복한 연말정산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결혼세액공제는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2023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혼인신고를 한 경우에 적용됩니다.

출산지원금 비과세 혜택은 어떻게 되나요?

자녀 출생일 기준 2년 이내에 받은 출산지원금은 최대 2회까지 전액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의료비 공제는 어떻게 강화되었나요?

6세 이하 자녀의 의료비는 한도 없이 전액 세액공제되며, 기존의 의료비 공제 한도도 넘어서 공제가 가능합니다.

주거비 세액공제는 어떤 변화가 있나요?

총급여 8000만 원 이하의 근로자도 월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한도가 1000만 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신용카드 사용액 소득공제는 어떻게 되나요?

신용카드 사용액이 전년 대비 5% 이상 증가하면, 증가분의 10%를 최대 100만 원까지 소득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전 글: 일본 여행 필수 아이템, 스이카 카드 발급 및 활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