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을 맞아 김장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안성맞춤인 이찬원의 대용량 김장김치 레시피를 소개합니다. 이번 레시피는 트로트 가수 황윤성과 김중연의 지원을 받아 완성된 것으로, 60포기라는 대량의 김치를 담글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목차
재료 준비하기
주요 재료
- 절임배추: 60포기
- 무: 11개 (약 11kg)
- 부추: 2.9kg
- 쪽파: 3.6kg
양념 베이스
- 깐 마늘: 2.6kg
- 깐 생강: 1.1kg
- 양파: 3.6kg
- 배: 1.8kg
찹쌀풀 재료
- 찹쌀가루: 700g
- 물: 4.5L
최종 양념
- 설탕: 1.1kg
- 일반 고춧가루: 4.4kg
- 고운 고춧가루: 3.6kg
- 매실액: 1.7kg
- 멸치액젓: 3.6kg
- 새우젓: 2.9kg
김장김치 만드는 방법
절임배추 준비
- 배추 물기 제거: 절임배추 60포기는 물기를 꽉 짜서 준비합니다.
양념 베이스 만들기
- 재료 갈기: 믹서기에 깐 마늘, 깐 생강, 양파, 배를 넣고 갈아줍니다. 믹서기의 용량에 따라 나눠 갈아도 좋습니다.
채소 손질하기
- 무 채 썰기: 무는 채 썰어 준비합니다.
- 부추, 쪽파 손질: 부추와 쪽파는 각각 5등분으로 자릅니다.
찹쌀풀 만들기
- 찹쌀풀 조리: 냄비에 물과 찹쌀가루를 넣고 끓입니다. 찹쌀풀이 투명해질 때까지 저어준 후 식혀줍니다.
양념 혼합하기
- 양념 혼합: 식힌 찹쌀풀과 양념 베이스, 손질한 채소 및 양념 재료를 모두 넣고 고루 섞어 김칫소를 만듭니다.
김치 담그기
- 김칫소 바르기: 절임배추의 아랫부분부터 김칫소를 한 장씩 바릅니다. 배추 줄기 부분에 양념이 많이 남도록 적당히 발라줍니다.
- 김치통에 담기: 김치통에 한 포기씩 꾹꾹 눌러 담아줍니다. 이때 산소와의 접촉을 줄이기 위해 비닐봉지 등으로 감싸주면 좋습니다.
이로써 이찬원의 대용량 김장김치가 완성되었습니다! 김치 속 유산균이 산소와 접촉하면 죽어버리기 때문에, 담그고 나서 신선하게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찬원 1포기 김장김치 레시피
재료 계량
- 절임배추: 1포기 (약 2.5kg)
- 무: 한 토막 (5cm 두께, 300g)
- 부추: 한 줌 (80g)
- 쪽파: 한 줌 (100g)
양념 베이스
- 깐 마늘: 한 줌 (70g)
- 생강: 한 쪽 (30g)
- 양파: 1/2개 (100g)
- 배: 1/4개 (50g)
찹쌀풀 재료
- 찹쌀가루: 2T
- 물: 200g
최종 양념
- 설탕: 2T (30g)
- 일반 고춧가루: 8T (120g)
- 고운 고춧가루: 7T (100g)
- 매실액: 3T (45g)
- 멸치액젓: 7T (100g)
- 새우젓: 6T (80g)
위의 레시피는 대량 김치 만드는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김장을 언제 하는 것이 좋나요?
김장은 주로 늦가을에서 초겨울 사이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시기에 신선한 재료를 구할 수 있습니다.
질문2: 김장김치는 얼마나 오래 보관할 수 있나요?
김장김치는 냉장 보관 시 약 2-3개월 정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보관 방법을 따르면 더 오랫동안 즐길 수 있습니다.
질문3: 김장김치를 더 맛있게 만드는 팁은?
김치 속에 들어가는 재료의 신선도가 중요합니다. 또한, 발효가 잘 되도록 보관온도와 시간이 중요합니다.
질문4: 대용량 김치 담그는 데 필요한 시간은?
60포기의 김장을 하기 위해서는 약 3-4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준비와 손질 단계에서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미리 계획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5: 김치 양념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조절할 수 있나요?
네, 김치 양념은 개인의 입맛에 맞게 조절 가능합니다. 매운 맛을 원하시면 고춧가루의 양을 늘리거나, 단맛을 원하시면 설탕을 추가해 주세요.
이전 글: 하나은행 트래블로그 체크카드 발급 리뷰